최단 거리
- 최단 거리 또는 최단 경로(Shortest Path)는 일반적으로 그래프상에서 이루어지는 개념이다.
- 그래프에서 한 노드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노드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가장 적은 경로가 최단 경로 또는 최단 거리가 될 것이다.
- 이때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수치적으로 나타낸 것이 가중치(weight)이고 최단 경로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.
- 어떤 노드 $V_i$ 에서 다른 노드 $V_j$ 로 이동할 때 드는 가중치 $W$가 최소가 되는 경로를 구하는 문제
활용처와 방법론
- 최단 경로 알고리즘의 활용은 매우 무궁무진하다. 일상적으로 가장 가까이서 찾아볼 수 있는 최단 경로 알고리즘의 활용처는 네비게이션이 될 것이다. 거리의 교차점을 하나의 노드로, 도로를 간선으로 추상화한다면 어떤 거리에서 다른 거리로 이동하는데 드는 최소 비용(여기서는 가중치가 시간이 될 것이다.)을 구하는 것이 될 것이다.
- 또한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에서 패킷이 라우터를 거쳐 목적지로 가는데에도 최단 경로 알고리즘이 사용된다.(일반적으로 네트워크상에서 이동하는 시간이 가중치가 되며 시간이 음수가 될 수는 없기 때문에 다익스트라를 사용한다.)
- 이러한 최단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은 크게 3가지가 존재하며 각각 다익스트라(Dijkstra), 벨만-포드(Bellman - Ford), 플로이드 와샬(Floyd - Warshall)알고리즘으로 불린다.
다익스트라 알고리즘
- 다익스트라는 어떤 시작 노드 V에서 그래프에 존재하는 각 노드들에 대해 최단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.
- 구현 방식은 DP + 그리디이며, 구현하는데 우선순위 큐를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.
- 기본적인 알고리즘의 순서는 아래와 같이 진행된다.
- 각 노드에 대해 최소 가중치를 저장해두는 DP 배열을 만들고, 그 내부를 모두 INF로 지정한다. 이때, 자기 자신은 이동하는데 어떠한 가중치도 들지 않으므로 0으로 설정한다.
- 각 노드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.
- 갱신할 노드를 찾기 위한 거리 임시 변수를 선언하고 INF로 초기화한다.
- 이후 각 노드를 돌면서, 해당 임시 변수보다 작으면서 이미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찾는다.
- INF보다 작은 노드를 찾는 이유는 가중치가 INF인 곳을 찾아 수행할 경우에 어떠한 값 갱신도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.(최소 가중치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)
- 이후 해당 노드를 방문하였다고 표시하고 해당 노드와 인접한 각 노드들에 대해 최소 가중치들을 갱신한다.
- 만약 해당 노드에서 인접한 노드로 가는데 드는 최소 가중치가 DP에 존재하는 최소 가중치보다 작다면 갱신하도록 하면 된다.
- 글로는 뭔가 이해하기가 힘드니 그림을 통해 한번 더 살펴보자
- 위와 같은 그래프가 있다고 가정하자 노드 1에서 출발할 때 각 노드들에 대한 최단 경로를 찾아야 한다.
- DP table인 $D$을 만들어 자기 자신의 가중치는 0이기 때문에 0으로 초기화하고, 나머지 모든 노드들에 대해서는 무한대(INF)로 초기화한다고 하자.
- 임시 변수를 생성하여 DP table에서 그 노드까지 가는 거리가 INF가 아니고, 방문한 적 없는 노드를 찾는다. 여기에서는 1이 선택될 것이다. 그렇다면 이제 1과 인접한 노드들인 2, 3에 대해 distance이 갱신되어야 한다.
- 2까지 가는 최단 경로인 $D[2] = \infty$이고, 1을 거쳐 2까지 가는데 드는 가중치는 $D[1] + W_{12} = 0 + 3$이 된다. 따라서 $D[2] = \min(D[2], D[1] + W_{12})$ 에 의해 $D[2] = 3$이 된다.
- 이제 다른 인접한 노드인 3을 보도록 하자. 동일한 논리로 $D[3] = \min(D[3], D[1] + W_{13})$에 의해 $D[3] = 2$가 된다. 다른 인접한 노드인 4도 동일한 로직으로 인해 $D[4] = 7$이 될 것이다.
- 첫 번째 갱신이 일어난 이후의 DP-table인 $D$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.
- 이제 다음 루프를 생각해보자. 1번은 이미 방문했으므로, 건너띄고 그 다음 2번 노드가 방문하지 않았으면서, INF로 설정된 임시 변수보다 적은 가중치를 가지고 있다.
- 2번의 방문 체크를 수행하고 2번과 인접한 1번과 4번에 대해 가중치 갱신을 시도한다.
- 1번의 경우 $D[1] = \min(D[1], D[2] + W_{21})$에서 $D[1] = 0$이기 때문에 갱신이 일어나지 않는다.
- 4번의 경우 $D[4] = \min(D[4], D[2] + W_{24})$에서 $D[2] + W_{24} = 6$이 되기 때문에 값 갱신이 일어나게 된다.
- 갱신이 끝난 이후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.
- 다음도 동일하게 3번이 선택된다. 3번과 인접한 1번노드와 4번 노드에 대해 값 갱신이 시도된다.
- 1번의 경우 $D[1] = \min(D[1], D[3] + W_{31})$에서 $D[1] = 0$이기 때문에 갱신이 일어나지 않는다.
- 4번의 경우 $D[4] = \min(D[4], D[3] + W_{34})$에서 $D[2] + W_{34} = 4$가 되기 때문에 값 갱신이 일어나게 된다.
- 갱신 이후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.
- 다음 루프로는 4번이 된다. 4와 인접한 노드 1, 2 ,3, 7에 대해 갱신이 시도된다.
- 1, 2, 3번은 모두 현재 DP에 저장되어 있는 값들이 더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- 5번의 경우 $D[5] = \infty$로 $D[5] = \min(D[5], D[4] + W_{45})$에서 11로 값이 갱신된다.
- 갱신이 종료된 이후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.
- 마지막으로 5가 남았으며 5번 노드는 인접한 노드가 4이외엔 존재하지 않고, 4에서 역시 값 갱신이 일어나지 않는다. 따라서 갱신이 없이 종료되며 1번을 기준으로 각 노드에 대한 최단 경로가 모두 구해졌다.
- 각 과정에서 착각하면 안되는 것은 각 노드를 "시작점"으로 설정해서 하는 것이 아닌 1번에서 각 노드를 "경유해서" 가는 거리라는 것이다. 즉 위의 DP에 있는 각 값들은 1번 노드를 시작점으로 하였을 때 4번 노드로 가는 것의 경우, 1 -> 3 -> 4로 가는 경로가 4로 가장 최단 경로가 된다는 것이다.
- 해당 알고리즘의 구현은 아래와 같다.
// 알고리즘 - 최단 경로 알고리즘
// 다익스트라 기본 구현
import java.util.ArrayList;
public class Main {
static class Node{
int to;
int weight;
public Node(int to, int weight){
this.to = to;
this.weight = weight;
}
}
public static void dijkstra(int v, int[][] data, int start) {
ArrayList<ArrayList<Node>> graph = new ArrayList<>();
for(int i = 0; i < v + 1; i++){
graph.add(new ArrayList<>());
}
for (int i = 0; i < data.length; i++){
graph.get(data[i][0]).add(new Node(data[i][1], data[i][2]));
}
int[] dist = new int[v + 1];
for (int i = 1; i < v + 1; i++){
dist[i] = Integer.MAX_VALUE;
}
dist[start] = 0;
boolean[] visited = new boolean[v + 1];
for (int i = 0; i < v; i++){
int minDist = Integer.MAX_VALUE;
int curIdx = 0;
for (int j = 1; j < v + 1; j++){
if (!visited[j] && dist[j] < minDist){
minDist = dist[j];
curIdx = j;
}
}
visited[curIdx] = true;
for (int j = 0; j < graph.get(curIdx).size(); j++){
Node adjNode = graph.get(curIdx).get(j);
if (dist[adjNode.to] > dist[curIdx] + adjNode.weight){
dist[adjNode.to] = dist[curIdx] + adjNode.weight;
}
}
}
for (int i = 1; i < v + 1; i++){
if (dist[i] == Integer.MAX_VALUE){
System.out.print("INF ");
} else{
System.out.print(dist[i] + " ");
}
}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Test code
int[][] data = {{1, 2, 2}, {1, 3, 3}, {2, 3, 4}, {2, 4, 5}, {3, 4, 6}, {5, 1, 1}};
dijkstra(5, data, 1);
}
}
다익스트라 - 우선순위 큐
- 사실 굳이 저렇게 최소가 되는 간선을 일일히 탐색하지 않아도 된다. 시작점에서 가까운 노드들(시작점에서 해당 노드까지의 가중치가 적은 노드)을 우선순위로 택하여 뽑아낸다면, 결론적으로 시작 노드에서 모든 노드까지 최단 거리가 구해지기 때문이다.
- 가중치가 적은 것이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우선순위 큐를 사용할 수 있다. 여기서는 최소 가중치를 먼저 나오게 해야 하므로 min-heap으로 구성하면 된다. 해당 방식은 visited를 사용하지 않는데 어차피 기존 경로보다 긴 경로가 나오면 무시하면 되기 때문이다.
// 다익스트라 우선순위 큐 사용
import java.util.ArrayList;
import java.util.PriorityQueue;
public class Main2 {
static class Node{
int to;
int weight;
public Node(int to, int weight){
this.to = to;
this.weight = weight;
}
}
public static void dijkstra(int v, int[][] data, int start) {
ArrayList<ArrayList<Node>> graph = new ArrayList<>();
for(int i = 0; i < v + 1; i++){
graph.add(new ArrayList<>());
}
for (int i = 0; i < data.length; i++){
graph.get(data[i][0]).add(new Node(data[i][1], data[i][2]));
}
int[] dist = new int[v + 1];
for (int i = 1; i < v + 1; i++){
dist[i] = Integer.MAX_VALUE;
}
dist[start] = 0;
//create min heap(weight)
PriorityQueue<Node> pq = new PriorityQueue<>((x, y) -> x.weight - y.weight);
pq.offer(new Node(start, 0));
while(!pq.isEmpty()){
Node curNode = pq.poll();
if(dist[curNode.to] < curNode.weight){
continue;
}
for (int i = 0; i < graph.get(curNode.to).size(); i++){
Node adjNode = graph.get(curNode.to).get(i);
if (dist[adjNode.to] > curNode.weight + adjNode.weight){
dist[adjNode.to] = curNode.weight + adjNode.weight;
pq.offer(new Node(adjNode.to, dist[adjNode.to]));
}
}
}
for (int i = 1; i < v + 1; i++){
if (dist[i] == Integer.MAX_VALUE){
System.out.print("INF ");
} else{
System.out.print(dist[i] + " ");
}
}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// Test code
int[][] data = {{1, 2, 2}, {1, 3, 3}, {2, 3, 4}, {2, 4, 5}, {3, 4, 6}, {5, 1, 1}};
dijkstra(5, data, 1);
}
}
다익스트라의 시간복잡도
- 순차 탐색을 통한 다익스트라의 시간복잡도는 정점의 개수를 $V$, 간선의 개수를 $E$라고 지정할 때 $O(V^2)$를 가진다.
- 우선순위 큐를 사용할 경우, $O((V + E) \log V)$를 가진다. 이는 모든 정점 $V$에 대해 최단 거리를 가지는 노드를 찾는데 우선순위 큐의 특성 상 $V \log V$가 걸리고, 각 노드에 대해 이웃한 노드의 최단 거리를 갱신하는데 우선순위 큐의 갱신 시간 복잡도 특성 상 $E \log V$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.
'Algorithm > 최단 거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최단 거리 알고리즘 - Floyd - Warshall 알고리즘 (0) | 2023.03.30 |
---|---|
최단 거리 알고리즘 - Bellman - Ford 알고리즘 (0) | 2023.03.30 |